\"Young Goodman Brown\" 해설
젊은 주인공 Goodman Brown은 해질 무렵 애절하게 붙잡는 아내를 뿌리치고 어두운 숲을 향해 운명의 여정에 오른다. 아내의 이름은 Faith이고 남편의 이름은 Goodman Brown이다. 이들의 이름이 암시하듯 이들은 선량하고 독실한 믿음의 부부였다. 그러나 어느날 갑자기 Brown의 불행한 운명의 발길은 음산하고 어두운 숲 속을 헤치고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당장 마귀라도 나올 듯한 어두운 숲속에서 겁에 질려 공포감을 느끼기 시작할 때, 그는 그를 기다리고 있던 사탄의 사자인 길잡이를 만나게 된다. 이들은 함께 더욱 더 어둡고 깊은 숲 속을 향해 발길을 재촉한다. 얼마후 어두운 험한 산길에 초행인 젊은이가 피로의 기색을 보이자, 사탄의 사자인 길잡이는 자기의 꿈틀거리는 뱀모양의 지팡이를 집고 가라고 그에게 친절을 베푼다.
사탄의 안내자가 주는 뱀모양의 지팡이는 물론 아담과 이브를 유혹한 뱀과 같이 유혹을 상징하며, 이는 젊은이가 숲속에 들어온 후의 첫 유혹이며 시련이 된다. 온갖 악이 존재하고 있는 어두운 숲 속에 어쩌다 발을 들여 놓았지만, 아직 타락의 경지에는 이르지 않은 그의 양심과 믿음은, 악마의 길잡이에 대한 의심으로 이제는 집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하자, 사탄의 안내자는 조금만 더 걸어가면서 의논해 보자고 그를 유혹한다.
\"Sayest thou so?\" replied he of the serpent, smiling apart. \"Let us walk on, neverthless, reasoning as we go; and if I convince thee not thou shalt turn back. We are but a little way in the forest yet\"(CSS, 248)
이렇듯 이제 막 숲 속에 들어선 것 뿐이라는 길잡이의 말에 따라 젊은이는 자기도 모르게 멈추었던 발걸음을 다시 옮겨 놓게 된다. 그리고 순진한 젊은이는 늑대에 끌려가는 어린 양과 같이, 우리 아버님과 그 이전 선대 어른들께서는 이러한 일로 숲속에 들어온 일이 없으며 우리는 훌륭한 기독교 신자였노라고 말한다. 그리고 마귀에 끌려가고 있는 자신의 처지를 애통이 여기자, 사탄의 사자는 마치 그 말을 기다리기라도 한 듯이 자기와 젊은이의 조상들과는 아주 친근한 사이였다고 말하며 일일이 젊은이의 조상들에 대한 죄상을 폭로한다. 그리고 자기와 젊은이의 조상들과의 옛정을 생각해서라도 젊은이와 더 친근해야겠다고 능청스럽게 역습해 온다.
젊은이가 이러한 길잡이의 허황된 말이 믿어지지가 않는 듯 놀라움을 표시하자, 사탄의 사자는 교회의 집사나 마을의 평의원들 그리고 판사들과 지사까지도 자기와 가까운 사이인 동시에 동지들이라 말하며 모든 인간들의 은밀한 되를 폭로한다.
자기와 자기조상들의 정직함과 믿음을 역설했다가 오히려 역습을 당한 젊은이는 이제 할말이 없게 되고 만다. 그러나 젊은이는 자기가 존경하는 하나님의 종이신 그의 교회 노목사님만은 그렇지 않으리라 굳게 믿고, 만약에 자기가 사탄의 사자(使者)를 따라간다면, 존경하는 노목사님을 무슨 낯으로 대하느냐고 길잡이에게 항의하자, 사탄의 사자는 제발 나를 웃기지 말라고 다음과 같이 말하며 크게 웃는다.
\"Ha!ha! ha!\" shouted he again and again; then composing himself, \"Well, go on, Goodman Brown, go on; but prithee, don't kill me with laughing.\"(CSS, 249)
이는 잠시 후에 젊은이 자신이 목격하게 되는 바이지만, 목사님 자신도 이 사탄의 숲에 드나들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숲 속 사탄의 집회를 향해 총총히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목사님과 집사 사이의 대화에서 그는 더욱 놀라움을 발견하게 된다. 그가 존경하는 노목사까지도 믿을 수 없게 되자, 젊은이는 최후의 수단으로 이름도 Faith인 그의 아내의 믿음에 실망을 안겨줄 수 없으니 자기는 이제 집에 돌아가겠다고 말한다.
이 말을 들은 사탄의 사자는 이에 질세라, “Nay, if that be the case, even go thy ways, Goodman Brown,”이라고 격려하며, 여자란 모두 믿을 수 없는 존재라는 듯, 젊은이가 어렸을 때 교리문답을 가르쳐주고 현재도 목사님과 더불어 그의 믿음의 지주(支柱)인 한 노부인을 목격케 해준다. 평시에 목사님 못지 않게 존경하고 있던 이 노부인이 자기가 현재 유혹당하고 있는 숲속 사탄의 모임을 향해 서둘러 가고 있음을 목격하자, 젊은이는 실망과 분노를 이기지 못해 갑자기 저런 늙은이가 가는 곳에 자기는 한발자국도 더 이상 갈 수 없노라고 완강히 거부한다. 그리고는 마치 하늘마저 의심하듯 밤하늘을 우러러 보고 푸른 밤하늘에 별이 빛나고 있음을 보자 이에 힘입어, 위로 하늘이 있고 지상에 사랑하는 아내 Faith가 있는 한 자기는 완강히 사탄을 물리치겠노라고 외친다.
Goodman Brown의 비극은 선악과를 맛본 결과 하늘의 낙원에서 쫓겨나 영원한 불행을 초래한 아담의 경우와 같이, 인간의 은밀한 죄의 내면세계를 알게된 후 믿음을 잃고 사탄에게 그의 영혼을 빼앗기고 마는 한 선량한 젊은 청교도의 비극이라 말 할 수 있다. 이는 역시 은밀한 자신의 내면세계를 들여다 본 후 세상을 대하기가 두려워 자신의 얼굴을 가리기 위해 검은 두건을 쓰고 죽어간 \"The Minister's Black Veil\"의 Hooper 목사와 경우와도 같다. 그리고 Goodman Brown의 경우 유혹과 시련은, 그 동기와 종말은 다르나, Bunyan의 「천로역정」과 비슷한 바 있다. 이윽고 그토록 완강히 거부하던 젊은이는 하늘과 같이 믿었던 사랑하는 아내인 Faith 역시 자기와 같이 숲 속 악마의 모임에 가고 있음을 보게 되며, 그 때 그의 아내가 떨어뜨리는 분홍색 리본은 붉은 색과 흰색의 혼합색임을 뜻하는데, 이는 인간이란 그가 생각하는 바와 같이 순결한 존재가 아니며 그렇다고 전적으로 악한 존재도 아니라는 것을 상징한다고 본다. 어쨌든 어두운 숲속에서 자기의 아내를 발견하자 젊은이는 그토록 완강히 거부하던 이때까지의 그의 태도를 돌변하여 미친 듯한 몸부림과 함께 아내의 이름을 부르며 사탄에 굴복하고 만다.
\"My Faith is gone!\" cried he, after one stupefied moment. \"There is no good on earth; and sin is but a name. Come, devil; for to thee is this world given\"(CSS 252)
여기에서 말하는 그의 아내 Faith는 Brown자신의 믿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가 믿음을 완전히 상실했음을 의미한다. 그의 말에 의하면 죄악이란 단지 이름일뿐 사실은 온세상이 온통 악마의 세상이라는 것이다. 실망 끝에 사탄에 굴복하고만 젊은이는 그가 두려워하던 길잡이의 지팡이를 집고, 즉 사탄의 힘을 빌어 단숨에 악마의 모임 장소로 달려간다. 그리고 사탄의 모임에 도착한 그는 선악의 구별이 없는 흡사 지옥과 같은 그 곳에 모인 각계각층의 많은 무리들을 다시 확인하게 되며 놀란다. 이는 마치 평상시 하나님의 은총 속에 경건하고 평화스러웠던 온 마을이 그대로 숲속에 옮겨진 것과 똑같기 때문이다. 마침내 사탄의 제사장이 설교를 시작하면서 그의 열띤 설교는 젊은이의 믿음과 선악에 대한 의식에 마지막 쐐기를 박는다.
꿈에서 깨어 난 젊은이는 새벽에 악마의 숲으로부터 마을로 돌아와 평상시와 다름없는 마을사람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집에 가까이 오는 길에 그는 목사님과 집사 그리고 어릴 때 교리문답을 가르쳐주던 노부인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젊은이는 지난밤 숲속 사탄의 모임에서 만난 그들의 모습을 잊지 못한다.
운명의 그날 밤 이래 선악의 문제에 대한 침통한 번민에 빠지게 된 Brown은 끝내 그 의혹에서 헤어나지를 못한다. 믿음을 상실한 그에게 있어 그가 사탄의 사자(使者)에게 외치던 “With Heaven above and Faith below\"의 Heaven 은 멀어지고 믿음과 더불어 자신에게 사랑의 상징이었던 지상의 아내 Faith 도 멀리하게 된다. 이제 Brown은 영혼을 구할 수 있는 성스러운 열쇠인 믿음과 사랑을 동시에 잃어버린 것이다. 따라서 “Young Goodman Brown”에 있어 작가의 의도는 Brown을 구원하는 것보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마음속 깊이 죄를 짓고 있으며 누구나 사탄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는 그의 죄악관을 표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Young Goodman Brown”은 Hawthorne의 작품 중 인간의 은밀한 내면세계를 가장 적나라하게 파헤친 작품이며, 결정적인 문제의 해결을 표면에 제시하기를 거부하고 있다Hawthorne은 Emerson과는 달리 악에 우선하는 절대 선과 인간의 절대적인 의지를 믿지 않았으며, 철저하게 인간의 암흑면을 집요하게 파헤쳤지만 인간에 대한 희망을 저버리지는 않고 있다. 무수한 밤하늘의 별들이 어둠 속에서 더욱 빛나듯 오히려 그의 어두운 죄악세계는 마치 은밀한 후광처럼 빛과 희망의 바탕이 되고 있다고 역설적으로 말할 수 있다. Hawthorne은 “Young Goodman Brown”에서 결정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제시 없이 음산한 비극 속에 이야기를 맺고 있으나, Brown이 그의 아내 Faith에게 숲속에서 마지막으로 외치는 \"look up to heaven, and resist the wicked one\"라는 구절이 가장 중요한 주장이라 생각된다.
\" Young Gooodman Brown \"에 대한 또 다른 해설
“Young Goodman Brown\"은 경건하고 엄격한 신앙생활의 규범과 계율속의 청교도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한 청년이 악마의 세계를 체험하고 우울한 신앙 회의론자로 변모되어 가는 심리적 변천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은 단편 작품이지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부분과 끝 부분은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 해당되며 이 사이에 연속되는 두 개의 에피소드가 들어간다.
첫 부분은 \"departure\"로서 무대는 Salem Village이며 둘째 부분은 주인공 Brown이 마을을 떠나 숲 속으로 들어가면서 일어나는 사건들이고 셋째 부분은 숲 속 깊숙한 곳의 악마의 집회, 그리고 끝 부분은 ”return\"으로서 주인공 Brown이 Salem Village에 다시 돌아 온 이후의 상황이다. 대체로 성장소설로 보는 이 작품의 형식은 “departure-intitiation-return\"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성장모티프는 주인공의 성공아닌 실패의 결과로 나타난다. Brown의 이야기는 인간성장의 실패라 볼 수 있으며 사악한 욕망 때문에 직면하게 되는 자신의 추악한 실체를 솔직하게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이것을 남에게 투사함으로써 자신의 정신적인 성장과 성숙한 인격 형성에 실패한 이야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첫 단계는 프롤로그에 해당되는 짤막한 것으로 주인공 Brown이 신혼의 아내 Faith와 작별하고 마을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도입부에서 알려야 될 사실들이 매우 간략하게 그리고 암시적으로 나타난다. 때는 해가 지고 어둠이 덮이는 무렵 Salem Village 거리에 결혼 3개월의 신혼 부부가 나온다. Faith는 모자에 핑크색 리본을 달고 있다. Faith는 꿈자리가 어수선하고 혼자 있기가 불안하니 오늘 밤만은 함께 있어 달라고 남편인 Brown에게 애원한다.
This one night must I tarry away from you. My journey must be done between now and sunrise. What my sweet wife, do you doubt me already. and we only three months married!
이처럼 Brown은 오늘밤 하루만 떠나는 것이고 내일 해뜨기 전에 집에 돌아 오겠다고 아내를 달래고 길을 떠난다. 그는 아내의 꿈 이야기와 오늘밤 자신이 할 일을 예상하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그는 아내에 대해 \" Well; She is a blessed angel on earth; and after this one night, I'll cling to her skirts and follow her to Heaven.\"이라고 생각하면서 오늘밤만 지나고 나면 천사와 같은 아내 Faith의 치마자락을 붙들고 자신은 천국에 가겠다고 마음속에 다짐한다.
위와 같이 간단한 내용이지만 몇가지 중요한 사실과 문제가 있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내포하고 있는 암시적 의미, 신혼 3개월의 Brown이 자신의 속마음을 숨긴 채 홀로 밤의 여행을 떠난다는 사실, 세 번씩이나 등장하는 pink ribbon의 의미, 아내의 치마자락에 매달려서 천국에 가겠다는 Brown의 신앙태도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알레고리와 상징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Hawthorne의 기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Young Goodman Brown” 주인공은 젊고 순진하며 단순하고 경험이 없음을 뜻한다.
그의 신앙은 “하루밤 사악한 경험을 한 후에 아내의 치마자락을 잡고 천국에 가겠다”는 너무 유치한 신앙이다. Goodman은 당시 보통 이름 앞에 붙이는 Mr.와 같은(여자는 Goody) 뜻과 동시에 착하다는 뜻이 있다. 그는 착한 청교도 젊은이로 Brown은 매우 흔한 이름이며 동시에 어두운 것과 죄에 물들어 우울한 일생을 보낼 주인공을 암시해주는 말이다.
Faith는 아내의 이름이지만 동시에 신앙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Brown이 Faith를 떠나 숲속에 가는 것은 신앙을 잠시 소홀히 하고 멀리한다는 의미도 된다. Brown에게 신앙은 교회 출석 잘하는 것, 잠시 떠났다가 돌아올 수도 있는 것, 나쁜 짓 안하고 착하게 살면 되는 것 정도로 생각된다. 천사같은 아내 Faith의 치마자락을 꼭 붙들고 있으면 천국에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너무나도 미숙한 신앙관을 갖고 있는 그는 성숙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책임있는 남편으로서 분별력을 갖추지 못한 생각과 행동을 하는 것이다. Faith의 pink ribbon은 주홍글씨 A가 Hester Prynne의 상징인 것처럼 Faith의 뚜렷한 상징이기도 하다. 핑크 리본은 둘째 장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마지막 장면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에 프롤로그에서 세 번씩이나 언급하여 그 중요성을 암시해주고 있는 것이다.
둘째 단계에서 Brown은 어두운 밤 무서움을 억제하면서 암흑의 숲속으로 발걸음을 재촉한다. 이윽고 고목나무 아래에 앉아서 기다리던 점잖은 인물이 Brown을 발견하고, \"You are late, Goodman Brown, the clock of the old south was striking as I came through Boston .\" 이라고 말한다. 이 말 속에서 그 인물은 Brown을 기다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0세쯤으로 보이는 이 인물은 Brown과 모습이 비슷하여 부자로 오인될 정도이며 그의 태도나 옷차림은 평범하지만 세상 물정을 잘 알고 있는 인상이었다. 한가지 특이한 것은 그는 살아 꿈틀거리는 뱀모양의 지팡이를 들고 있는 것이다. 피곤하면 자신의 지팡이를 잡으라는 그의 말에 Brown은 약속대로 숲 속까지 왔으니 이제는 집으로 돌아 가겠노라고 주장한다. 지팡이 임자는 미소를 지으면서 ”Let us walk on, nevertheless, reasoning as we go, and if I convince thee not, thou shalt turn back\" 이라고 말한다. 그에게는 여유가 있고 자신이 있다. 한번 수중에 들어온 먹이를 놓치지 않는 악마의 근성이 나타난다고 할 수있다.
Devil과 Brown의 씨름은 아예 상대가 되지 못한다. Brown의 심리를 훤히 들여다 보면서 교묘한 화술로 자유 자재로 Brown을 유혹해 나가는 그 능숙성과 간교함이 고도로 섬세하게 극화되어 있다. 현실과 똑같은 실제감을 준다는 “specter evidence\"를 동원해서 악마의 안내자는 자신과 Brown의 조상과의 관계를 장황하게 설명해 주고 아울러 Brown이 어렸을 때 교리문답을 가르쳐 주었고 아직도 그의 신앙의 안내자요 정신적 지도자인 경건한 Goody Cloyse가 Devil과 함께 악마의 집회로 가는 모습도 보여준다. Brown이 더 이상 안가겠다고 버틸 때마다 또다른 ”specter\"를 보여줌으로써 악마의 안내자는 Brown의 저항을 서서히 무력화시켜 버린다.
다음에는 둘이 함께 숲 속을 가고 있을 때 어둠 속에서 말발굽 소리가 들리고 다른 두 사람의 대화가 들린다. 다름아닌 Deacon Gookin과 목사님이 불경스런 대화를 나누면서 악마의 제전에 서둘러 가고 있는 것이다. Brown은 충격으로 갑자기 비틀거리며 몸을 가누기 위해 나무를 붙든다. 허물어져 가는 인간의 선에 대한 신념에 발버둥치는 것이다. 그러나 곧 이어 멀리서 웅성대는 소리가 들려 오더니 차츰 소리가 커지고 마을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려오면서 무언가 애원하는 울부짖음의 젊은 여인의 목소리가 들려 오는 것이다. .
Brown은 갑자기 “Faith! Faith! Faith!\"를 고통과 절망의 목소리로 부르짖는다. 그 때 무엇인가 하늘에서 사뿐이 나무위에 내려 앉는다. Brown이 잡아보니 그것은 아내의 핑크 리본이었다. 순간 그는 ”Faith is gone!\" \"There is no good on earth: and sin is but a name. Come devil! for to thee is this world given\"이라고 외친다. 그의 믿음이 송두리째 뽑혀져 버리는 것을 느끼면서 Brown은 절망적으로 외치는 것이다. 이렇게 자포자기에 빠진 잠시 후 Brown은 요술 지팡이를 잡아 들고 악마의 집회 장소로 미친듯이 달려간다. 악을 향해 돌진하는 인간의 모습은 무서운 광경임이 틀림없다.
Brown은 온 힘을 다해서 “Let us hear which will laugh loudest! Think not to frighten me with your deviltry! Come witch, come wizard, come Indian powow, come devil himself! and here comes Goodman Brown. You may as well fear him as he fear you!\"라고 소리를 지른다. 멀리 불빛이 보이고 귀에 익은 찬미 소리가 들려오고, 인간의 목소리가 아닌 ”all the sounds of the benighted wilderness\"가 장엄한 하모니를 이루며 악마의 제전이 Brown의 눈앞에 전개되는 것이다.
이처럼 둘째 단계는 Brown이 Devil을 만나 그 유혹에 이끌려 점차 깊은 숲속 악마의 집회에 접근하는 것으로 교묘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첫째는 주인공이 악마를 만나는 장면이고 둘째는 교회의 목사와 Gookin 집사가 말을 타고 불경스런 대화를 나누며 악마의 집회로 서둘러 가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으로 Faith의 핑크 리본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장면이다. Brown의 믿음은 서서히 무너져 가면서도 완강히 저항을 계속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핑크 리본은 Faith의 “metonymy\"이며 Faith는 Brown의 인간의 선과 인간 신뢰의 최후의 보루이다. Faith의 순결과 신뢰에 대한 믿음이 송두리째 뽑혀질 때 Brown은 절망하고 하는 것이다. 그러자 Brown은 Devil에 대한 저항을 완전히 포기해 버린다.
Brown을 넘어뜨리기 위해 Devil이 차례로 보여준 헛개비(spector)들은 가정과 사회와 교회의 상징물로 이것들은 인간을 도덕적으로 받쳐주고 있는 사회의 기본적인 기관들이다. 이러한 절망이나 신념의 붕괴는 Brown의 그릇된 인생관과 종교관에 근거하고 있다. Brown은 지금껏 ”실체나 본질적인 것“보다는 ”외관이나 비본질적인 것“을 더 중요한 것으로 믿고 있었다. 집사나 목사의 경건성 여부는 신앙의 본질과는 실제로 무관한 것이며 Brown이 핑크 리본을 Faith의 실체로 본 것도 마찬가지이다. 아내인 Faith의 스커트 자락을 잡고 천국에 가겠다는 생각은 문제의 핵심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skirts는 ”skirts of religion\"을 가리키며 그런 것들이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 Brown의 인생관이나 종교관은 잘못된 것 아니면 매우 미숙한 것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Brown의 약점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잇는 Devil은 이들을 차례로 무너뜨려간 것이다.
세 번째 단계에서 주인공이 느끼는 죄의 본질에 대한 환상극은 절정에 달한다. 어둠을 배경으로 이글이글 타오르는 넓은 바위 위에 불타는 네 모퉁이의 소나무들, 거기에 장중하게 울려 퍼지는 대 합창, 그리고 명암의 교차속에 나타나는 많은 등장인물들, 실로 한 편의 그랜드 오페라에 비길만하다. 이 악마의 제전에는 교회의 지도자들, 그 지역의 저명인사들, 지체높은 부인들과 순수한 처녀들이 모두 와 있다. 거기에는 이와 같은 선남선녀들만이 아니라 많은 범죄자들과 부정한 여인들도 함께 와 있다. 놀라운 것은 서로가 조금도 꺼리거나 멀리 하려는 기색도 없었으며 그들의 적대 행위자인 인디안 제사장들과 주술사들까지도 동참해 있다.
그런데 Faith는 어디 있을까? Brown은 마지막으로 한가닥 희망을 가져 본다. 또다시 악마의 찬미가가 울려 퍼지고 더욱 더 이글거리는 바위 위에 한 인물이 나타난다. “Bring forth the converts!\"라는 말에 Brown은 목사와 Gookin집사의 팔에 이끌려 제단앞으로 나아가자 거기에는 Goody Cloyse와 Martha Carrier에 이끌려 나온 가냘픈 여인도 있다. 이윽고 악마는 ”Welcome, my children, to the communion of your race!\"라고 Brown과 여인을 환영하면서 죄악의 본질에 대한 설교를 한다. 그리고 여기에 모인 경건하고 의로운 사람들이 은밀히 저지른 모든 죄악을 오늘밤만은 여기 모인 모든 사람들에게 명백하게 볼 수 있게 해주겠다는 것이다. 그들의 범죄를 일일이 열거하면서 서로 마주 보라고 지시한다. Brown은 Faith를 보고 Faith는 남편을 마주 본다.
And now, my children, look upon each other...Depending upon one another`s hearts, ye had still hoped that virtue were not all a dream. Now you are undeceived....Welcome...my children , to the communion of your race(pp.87-8)
이렇게 설교를 마치는 Devil에게 참석자 모두가 환호성를 지르며 일제히 “Welcome\"으로 화답한다. 아직 멈칫꺼리는 것은 Brown 내외 뿐이었다. 바위의 파인 곳에 담겨진 물은 불빛에 비추어 빨갛다. 악마는 거기에 손을 담궈서 이마에 세례 표시를 할 준비를 한다. 이렇게 되면 Brown내외는 서로의 사악한 모습을 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Brown은 사력을 다해 ”Faith! Faith!....Look up to Heaven, and resist the Wicked One!\"이라고 외친다. 그의 본능적인 최후의 저항이다. 그러나 이때 눈앞의 광경은 순간적으로 사라지고 Brown은 깊은 숲속에 혼자만 남아 있게 된다.그는 한동안 비틀거리며 차가운 바위에 기댄다. 빨갛게 타오르던 나뭇가지는 그의 뺨위에 차가운 이슬을 뿌려 준다.
이런 상황은 작품의 클라이막스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 클라이막스는 급전직하의 “falling action\"으로 바뀐다. 실질적으로 이 ”죄악의 환상극“은 끝이 난다고 보아도 좋다. 다음에 이어지는 마지막 부분은 이야기를 마무리하는 에필로그일 뿐이다. Hawthorne은 이 작품을 통해 모든 사람들의가슴속에 숨겨 있는 죄의 깊은 신비를 꿰뚫어 보면서 “악은 인류의 본성이나 악을 인간의 유일한 행복으로 삼는다는 것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받아들일 때 인간은 악마가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Brown은 그에게 남은 마지막 힘(또는 퓨리탄 신앙)을 다해 악마의 제자가 되기를 거부한 것이다.
끝 부분은 간단한 에필로그다. 다음날 아침에 Brown은 Salem Village에 돌아 온다. 악마의 집회에서 보았던 여러 사람들은 종전과 다름없이 경건한 생활을 하고 있다. 그들의 그런 행동이 역겨워서 견딜 수가 없는 Brown은 돌아 온 남편을 보고 아내인 Faith가 기뻐서 껑충껑충 뛰어 나와 매달리지만 그는 핑크 리본을 달고 있는 아내의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지나쳐 버린다. Brown은 그 이후로는 교회에서 듣는 찬송가 소리와 목사의 설교가 모두 견딜 수 없는 신성모독이며 허위로 들려서 천장이 무너져 내리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사로 잡히며 이따금 밤중에 자다가도 갑자기 Faith에게 움츠러든다.
Brown은 나머지 긴 인생을 즐거움과 기쁨을 모르고 신뢰와 믿음을 외면한 채 어둡고 삭막한 일생을 보낸다. 그는 끝내 인간다운 삶을 살아보지 못하고 믿음과 사랑과 소망을 모두 상실해 버린 인생을 살고 간 것이다. Brown은 자기 자신과, Goody Cloyse 등 몇 사람과 Faith로 대표되는 타인의 죄악성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하는데 이것을 거부함으로서 ”initiation test\"에서 실패하고 만 것이다.
Brown의 과오는 숲속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사실로 인정하고 악을 인간에 대한 “궁극적 진리”(final truth)로 받아 들이는데 있다. 더욱이 그는 자기 자신 속의 죄악성은 보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죄악만을 보는 모순에 빠진 것이다. 믿음, 소망, 사랑은 항상 함께 있다는 성서의 말씀은 진리이다. 인간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면서 사랑을 잃게 되고 사랑이 없는 곳에는 소망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신에 대한 믿음과 소망과 사랑도 같은 이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Hawthorne은 인간의 내면적 심층심리의 탐구자로서 인간의 죄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과 천재적인 예술적 재능으로 경탄을 금할 수 없는 한 편의 “죄의 환상극”을 창조한 것이다.
.
젊은 주인공 Goodman Brown은 해질 무렵 애절하게 붙잡는 아내를 뿌리치고 어두운 숲을 향해 운명의 여정에 오른다. 아내의 이름은 Faith이고 남편의 이름은 Goodman Brown이다. 이들의 이름이 암시하듯 이들은 선량하고 독실한 믿음의 부부였다. 그러나 어느날 갑자기 Brown의 불행한 운명의 발길은 음산하고 어두운 숲 속을 헤치고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당장 마귀라도 나올 듯한 어두운 숲속에서 겁에 질려 공포감을 느끼기 시작할 때, 그는 그를 기다리고 있던 사탄의 사자인 길잡이를 만나게 된다. 이들은 함께 더욱 더 어둡고 깊은 숲 속을 향해 발길을 재촉한다. 얼마후 어두운 험한 산길에 초행인 젊은이가 피로의 기색을 보이자, 사탄의 사자인 길잡이는 자기의 꿈틀거리는 뱀모양의 지팡이를 집고 가라고 그에게 친절을 베푼다.
사탄의 안내자가 주는 뱀모양의 지팡이는 물론 아담과 이브를 유혹한 뱀과 같이 유혹을 상징하며, 이는 젊은이가 숲속에 들어온 후의 첫 유혹이며 시련이 된다. 온갖 악이 존재하고 있는 어두운 숲 속에 어쩌다 발을 들여 놓았지만, 아직 타락의 경지에는 이르지 않은 그의 양심과 믿음은, 악마의 길잡이에 대한 의심으로 이제는 집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하자, 사탄의 안내자는 조금만 더 걸어가면서 의논해 보자고 그를 유혹한다.
\"Sayest thou so?\" replied he of the serpent, smiling apart. \"Let us walk on, neverthless, reasoning as we go; and if I convince thee not thou shalt turn back. We are but a little way in the forest yet\"(CSS, 248)
이렇듯 이제 막 숲 속에 들어선 것 뿐이라는 길잡이의 말에 따라 젊은이는 자기도 모르게 멈추었던 발걸음을 다시 옮겨 놓게 된다. 그리고 순진한 젊은이는 늑대에 끌려가는 어린 양과 같이, 우리 아버님과 그 이전 선대 어른들께서는 이러한 일로 숲속에 들어온 일이 없으며 우리는 훌륭한 기독교 신자였노라고 말한다. 그리고 마귀에 끌려가고 있는 자신의 처지를 애통이 여기자, 사탄의 사자는 마치 그 말을 기다리기라도 한 듯이 자기와 젊은이의 조상들과는 아주 친근한 사이였다고 말하며 일일이 젊은이의 조상들에 대한 죄상을 폭로한다. 그리고 자기와 젊은이의 조상들과의 옛정을 생각해서라도 젊은이와 더 친근해야겠다고 능청스럽게 역습해 온다.
젊은이가 이러한 길잡이의 허황된 말이 믿어지지가 않는 듯 놀라움을 표시하자, 사탄의 사자는 교회의 집사나 마을의 평의원들 그리고 판사들과 지사까지도 자기와 가까운 사이인 동시에 동지들이라 말하며 모든 인간들의 은밀한 되를 폭로한다.
자기와 자기조상들의 정직함과 믿음을 역설했다가 오히려 역습을 당한 젊은이는 이제 할말이 없게 되고 만다. 그러나 젊은이는 자기가 존경하는 하나님의 종이신 그의 교회 노목사님만은 그렇지 않으리라 굳게 믿고, 만약에 자기가 사탄의 사자(使者)를 따라간다면, 존경하는 노목사님을 무슨 낯으로 대하느냐고 길잡이에게 항의하자, 사탄의 사자는 제발 나를 웃기지 말라고 다음과 같이 말하며 크게 웃는다.
\"Ha!ha! ha!\" shouted he again and again; then composing himself, \"Well, go on, Goodman Brown, go on; but prithee, don't kill me with laughing.\"(CSS, 249)
이는 잠시 후에 젊은이 자신이 목격하게 되는 바이지만, 목사님 자신도 이 사탄의 숲에 드나들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숲 속 사탄의 집회를 향해 총총히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목사님과 집사 사이의 대화에서 그는 더욱 놀라움을 발견하게 된다. 그가 존경하는 노목사까지도 믿을 수 없게 되자, 젊은이는 최후의 수단으로 이름도 Faith인 그의 아내의 믿음에 실망을 안겨줄 수 없으니 자기는 이제 집에 돌아가겠다고 말한다.
이 말을 들은 사탄의 사자는 이에 질세라, “Nay, if that be the case, even go thy ways, Goodman Brown,”이라고 격려하며, 여자란 모두 믿을 수 없는 존재라는 듯, 젊은이가 어렸을 때 교리문답을 가르쳐주고 현재도 목사님과 더불어 그의 믿음의 지주(支柱)인 한 노부인을 목격케 해준다. 평시에 목사님 못지 않게 존경하고 있던 이 노부인이 자기가 현재 유혹당하고 있는 숲속 사탄의 모임을 향해 서둘러 가고 있음을 목격하자, 젊은이는 실망과 분노를 이기지 못해 갑자기 저런 늙은이가 가는 곳에 자기는 한발자국도 더 이상 갈 수 없노라고 완강히 거부한다. 그리고는 마치 하늘마저 의심하듯 밤하늘을 우러러 보고 푸른 밤하늘에 별이 빛나고 있음을 보자 이에 힘입어, 위로 하늘이 있고 지상에 사랑하는 아내 Faith가 있는 한 자기는 완강히 사탄을 물리치겠노라고 외친다.
Goodman Brown의 비극은 선악과를 맛본 결과 하늘의 낙원에서 쫓겨나 영원한 불행을 초래한 아담의 경우와 같이, 인간의 은밀한 죄의 내면세계를 알게된 후 믿음을 잃고 사탄에게 그의 영혼을 빼앗기고 마는 한 선량한 젊은 청교도의 비극이라 말 할 수 있다. 이는 역시 은밀한 자신의 내면세계를 들여다 본 후 세상을 대하기가 두려워 자신의 얼굴을 가리기 위해 검은 두건을 쓰고 죽어간 \"The Minister's Black Veil\"의 Hooper 목사와 경우와도 같다. 그리고 Goodman Brown의 경우 유혹과 시련은, 그 동기와 종말은 다르나, Bunyan의 「천로역정」과 비슷한 바 있다. 이윽고 그토록 완강히 거부하던 젊은이는 하늘과 같이 믿었던 사랑하는 아내인 Faith 역시 자기와 같이 숲 속 악마의 모임에 가고 있음을 보게 되며, 그 때 그의 아내가 떨어뜨리는 분홍색 리본은 붉은 색과 흰색의 혼합색임을 뜻하는데, 이는 인간이란 그가 생각하는 바와 같이 순결한 존재가 아니며 그렇다고 전적으로 악한 존재도 아니라는 것을 상징한다고 본다. 어쨌든 어두운 숲속에서 자기의 아내를 발견하자 젊은이는 그토록 완강히 거부하던 이때까지의 그의 태도를 돌변하여 미친 듯한 몸부림과 함께 아내의 이름을 부르며 사탄에 굴복하고 만다.
\"My Faith is gone!\" cried he, after one stupefied moment. \"There is no good on earth; and sin is but a name. Come, devil; for to thee is this world given\"(CSS 252)
여기에서 말하는 그의 아내 Faith는 Brown자신의 믿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가 믿음을 완전히 상실했음을 의미한다. 그의 말에 의하면 죄악이란 단지 이름일뿐 사실은 온세상이 온통 악마의 세상이라는 것이다. 실망 끝에 사탄에 굴복하고만 젊은이는 그가 두려워하던 길잡이의 지팡이를 집고, 즉 사탄의 힘을 빌어 단숨에 악마의 모임 장소로 달려간다. 그리고 사탄의 모임에 도착한 그는 선악의 구별이 없는 흡사 지옥과 같은 그 곳에 모인 각계각층의 많은 무리들을 다시 확인하게 되며 놀란다. 이는 마치 평상시 하나님의 은총 속에 경건하고 평화스러웠던 온 마을이 그대로 숲속에 옮겨진 것과 똑같기 때문이다. 마침내 사탄의 제사장이 설교를 시작하면서 그의 열띤 설교는 젊은이의 믿음과 선악에 대한 의식에 마지막 쐐기를 박는다.
꿈에서 깨어 난 젊은이는 새벽에 악마의 숲으로부터 마을로 돌아와 평상시와 다름없는 마을사람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집에 가까이 오는 길에 그는 목사님과 집사 그리고 어릴 때 교리문답을 가르쳐주던 노부인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젊은이는 지난밤 숲속 사탄의 모임에서 만난 그들의 모습을 잊지 못한다.
운명의 그날 밤 이래 선악의 문제에 대한 침통한 번민에 빠지게 된 Brown은 끝내 그 의혹에서 헤어나지를 못한다. 믿음을 상실한 그에게 있어 그가 사탄의 사자(使者)에게 외치던 “With Heaven above and Faith below\"의 Heaven 은 멀어지고 믿음과 더불어 자신에게 사랑의 상징이었던 지상의 아내 Faith 도 멀리하게 된다. 이제 Brown은 영혼을 구할 수 있는 성스러운 열쇠인 믿음과 사랑을 동시에 잃어버린 것이다. 따라서 “Young Goodman Brown”에 있어 작가의 의도는 Brown을 구원하는 것보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마음속 깊이 죄를 짓고 있으며 누구나 사탄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는 그의 죄악관을 표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Young Goodman Brown”은 Hawthorne의 작품 중 인간의 은밀한 내면세계를 가장 적나라하게 파헤친 작품이며, 결정적인 문제의 해결을 표면에 제시하기를 거부하고 있다Hawthorne은 Emerson과는 달리 악에 우선하는 절대 선과 인간의 절대적인 의지를 믿지 않았으며, 철저하게 인간의 암흑면을 집요하게 파헤쳤지만 인간에 대한 희망을 저버리지는 않고 있다. 무수한 밤하늘의 별들이 어둠 속에서 더욱 빛나듯 오히려 그의 어두운 죄악세계는 마치 은밀한 후광처럼 빛과 희망의 바탕이 되고 있다고 역설적으로 말할 수 있다. Hawthorne은 “Young Goodman Brown”에서 결정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제시 없이 음산한 비극 속에 이야기를 맺고 있으나, Brown이 그의 아내 Faith에게 숲속에서 마지막으로 외치는 \"look up to heaven, and resist the wicked one\"라는 구절이 가장 중요한 주장이라 생각된다.
\" Young Gooodman Brown \"에 대한 또 다른 해설
“Young Goodman Brown\"은 경건하고 엄격한 신앙생활의 규범과 계율속의 청교도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한 청년이 악마의 세계를 체험하고 우울한 신앙 회의론자로 변모되어 가는 심리적 변천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은 단편 작품이지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부분과 끝 부분은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 해당되며 이 사이에 연속되는 두 개의 에피소드가 들어간다.
첫 부분은 \"departure\"로서 무대는 Salem Village이며 둘째 부분은 주인공 Brown이 마을을 떠나 숲 속으로 들어가면서 일어나는 사건들이고 셋째 부분은 숲 속 깊숙한 곳의 악마의 집회, 그리고 끝 부분은 ”return\"으로서 주인공 Brown이 Salem Village에 다시 돌아 온 이후의 상황이다. 대체로 성장소설로 보는 이 작품의 형식은 “departure-intitiation-return\"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성장모티프는 주인공의 성공아닌 실패의 결과로 나타난다. Brown의 이야기는 인간성장의 실패라 볼 수 있으며 사악한 욕망 때문에 직면하게 되는 자신의 추악한 실체를 솔직하게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이것을 남에게 투사함으로써 자신의 정신적인 성장과 성숙한 인격 형성에 실패한 이야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첫 단계는 프롤로그에 해당되는 짤막한 것으로 주인공 Brown이 신혼의 아내 Faith와 작별하고 마을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도입부에서 알려야 될 사실들이 매우 간략하게 그리고 암시적으로 나타난다. 때는 해가 지고 어둠이 덮이는 무렵 Salem Village 거리에 결혼 3개월의 신혼 부부가 나온다. Faith는 모자에 핑크색 리본을 달고 있다. Faith는 꿈자리가 어수선하고 혼자 있기가 불안하니 오늘 밤만은 함께 있어 달라고 남편인 Brown에게 애원한다.
This one night must I tarry away from you. My journey must be done between now and sunrise. What my sweet wife, do you doubt me already. and we only three months married!
이처럼 Brown은 오늘밤 하루만 떠나는 것이고 내일 해뜨기 전에 집에 돌아 오겠다고 아내를 달래고 길을 떠난다. 그는 아내의 꿈 이야기와 오늘밤 자신이 할 일을 예상하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그는 아내에 대해 \" Well; She is a blessed angel on earth; and after this one night, I'll cling to her skirts and follow her to Heaven.\"이라고 생각하면서 오늘밤만 지나고 나면 천사와 같은 아내 Faith의 치마자락을 붙들고 자신은 천국에 가겠다고 마음속에 다짐한다.
위와 같이 간단한 내용이지만 몇가지 중요한 사실과 문제가 있다.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내포하고 있는 암시적 의미, 신혼 3개월의 Brown이 자신의 속마음을 숨긴 채 홀로 밤의 여행을 떠난다는 사실, 세 번씩이나 등장하는 pink ribbon의 의미, 아내의 치마자락에 매달려서 천국에 가겠다는 Brown의 신앙태도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알레고리와 상징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Hawthorne의 기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Young Goodman Brown” 주인공은 젊고 순진하며 단순하고 경험이 없음을 뜻한다.
그의 신앙은 “하루밤 사악한 경험을 한 후에 아내의 치마자락을 잡고 천국에 가겠다”는 너무 유치한 신앙이다. Goodman은 당시 보통 이름 앞에 붙이는 Mr.와 같은(여자는 Goody) 뜻과 동시에 착하다는 뜻이 있다. 그는 착한 청교도 젊은이로 Brown은 매우 흔한 이름이며 동시에 어두운 것과 죄에 물들어 우울한 일생을 보낼 주인공을 암시해주는 말이다.
Faith는 아내의 이름이지만 동시에 신앙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Brown이 Faith를 떠나 숲속에 가는 것은 신앙을 잠시 소홀히 하고 멀리한다는 의미도 된다. Brown에게 신앙은 교회 출석 잘하는 것, 잠시 떠났다가 돌아올 수도 있는 것, 나쁜 짓 안하고 착하게 살면 되는 것 정도로 생각된다. 천사같은 아내 Faith의 치마자락을 꼭 붙들고 있으면 천국에 갈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너무나도 미숙한 신앙관을 갖고 있는 그는 성숙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책임있는 남편으로서 분별력을 갖추지 못한 생각과 행동을 하는 것이다. Faith의 pink ribbon은 주홍글씨 A가 Hester Prynne의 상징인 것처럼 Faith의 뚜렷한 상징이기도 하다. 핑크 리본은 둘째 장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마지막 장면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에 프롤로그에서 세 번씩이나 언급하여 그 중요성을 암시해주고 있는 것이다.
둘째 단계에서 Brown은 어두운 밤 무서움을 억제하면서 암흑의 숲속으로 발걸음을 재촉한다. 이윽고 고목나무 아래에 앉아서 기다리던 점잖은 인물이 Brown을 발견하고, \"You are late, Goodman Brown, the clock of the old south was striking as I came through Boston .\" 이라고 말한다. 이 말 속에서 그 인물은 Brown을 기다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0세쯤으로 보이는 이 인물은 Brown과 모습이 비슷하여 부자로 오인될 정도이며 그의 태도나 옷차림은 평범하지만 세상 물정을 잘 알고 있는 인상이었다. 한가지 특이한 것은 그는 살아 꿈틀거리는 뱀모양의 지팡이를 들고 있는 것이다. 피곤하면 자신의 지팡이를 잡으라는 그의 말에 Brown은 약속대로 숲 속까지 왔으니 이제는 집으로 돌아 가겠노라고 주장한다. 지팡이 임자는 미소를 지으면서 ”Let us walk on, nevertheless, reasoning as we go, and if I convince thee not, thou shalt turn back\" 이라고 말한다. 그에게는 여유가 있고 자신이 있다. 한번 수중에 들어온 먹이를 놓치지 않는 악마의 근성이 나타난다고 할 수있다.
Devil과 Brown의 씨름은 아예 상대가 되지 못한다. Brown의 심리를 훤히 들여다 보면서 교묘한 화술로 자유 자재로 Brown을 유혹해 나가는 그 능숙성과 간교함이 고도로 섬세하게 극화되어 있다. 현실과 똑같은 실제감을 준다는 “specter evidence\"를 동원해서 악마의 안내자는 자신과 Brown의 조상과의 관계를 장황하게 설명해 주고 아울러 Brown이 어렸을 때 교리문답을 가르쳐 주었고 아직도 그의 신앙의 안내자요 정신적 지도자인 경건한 Goody Cloyse가 Devil과 함께 악마의 집회로 가는 모습도 보여준다. Brown이 더 이상 안가겠다고 버틸 때마다 또다른 ”specter\"를 보여줌으로써 악마의 안내자는 Brown의 저항을 서서히 무력화시켜 버린다.
다음에는 둘이 함께 숲 속을 가고 있을 때 어둠 속에서 말발굽 소리가 들리고 다른 두 사람의 대화가 들린다. 다름아닌 Deacon Gookin과 목사님이 불경스런 대화를 나누면서 악마의 제전에 서둘러 가고 있는 것이다. Brown은 충격으로 갑자기 비틀거리며 몸을 가누기 위해 나무를 붙든다. 허물어져 가는 인간의 선에 대한 신념에 발버둥치는 것이다. 그러나 곧 이어 멀리서 웅성대는 소리가 들려 오더니 차츰 소리가 커지고 마을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려오면서 무언가 애원하는 울부짖음의 젊은 여인의 목소리가 들려 오는 것이다. .
Brown은 갑자기 “Faith! Faith! Faith!\"를 고통과 절망의 목소리로 부르짖는다. 그 때 무엇인가 하늘에서 사뿐이 나무위에 내려 앉는다. Brown이 잡아보니 그것은 아내의 핑크 리본이었다. 순간 그는 ”Faith is gone!\" \"There is no good on earth: and sin is but a name. Come devil! for to thee is this world given\"이라고 외친다. 그의 믿음이 송두리째 뽑혀져 버리는 것을 느끼면서 Brown은 절망적으로 외치는 것이다. 이렇게 자포자기에 빠진 잠시 후 Brown은 요술 지팡이를 잡아 들고 악마의 집회 장소로 미친듯이 달려간다. 악을 향해 돌진하는 인간의 모습은 무서운 광경임이 틀림없다.
Brown은 온 힘을 다해서 “Let us hear which will laugh loudest! Think not to frighten me with your deviltry! Come witch, come wizard, come Indian powow, come devil himself! and here comes Goodman Brown. You may as well fear him as he fear you!\"라고 소리를 지른다. 멀리 불빛이 보이고 귀에 익은 찬미 소리가 들려오고, 인간의 목소리가 아닌 ”all the sounds of the benighted wilderness\"가 장엄한 하모니를 이루며 악마의 제전이 Brown의 눈앞에 전개되는 것이다.
이처럼 둘째 단계는 Brown이 Devil을 만나 그 유혹에 이끌려 점차 깊은 숲속 악마의 집회에 접근하는 것으로 교묘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첫째는 주인공이 악마를 만나는 장면이고 둘째는 교회의 목사와 Gookin 집사가 말을 타고 불경스런 대화를 나누며 악마의 집회로 서둘러 가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으로 Faith의 핑크 리본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장면이다. Brown의 믿음은 서서히 무너져 가면서도 완강히 저항을 계속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핑크 리본은 Faith의 “metonymy\"이며 Faith는 Brown의 인간의 선과 인간 신뢰의 최후의 보루이다. Faith의 순결과 신뢰에 대한 믿음이 송두리째 뽑혀질 때 Brown은 절망하고 하는 것이다. 그러자 Brown은 Devil에 대한 저항을 완전히 포기해 버린다.
Brown을 넘어뜨리기 위해 Devil이 차례로 보여준 헛개비(spector)들은 가정과 사회와 교회의 상징물로 이것들은 인간을 도덕적으로 받쳐주고 있는 사회의 기본적인 기관들이다. 이러한 절망이나 신념의 붕괴는 Brown의 그릇된 인생관과 종교관에 근거하고 있다. Brown은 지금껏 ”실체나 본질적인 것“보다는 ”외관이나 비본질적인 것“을 더 중요한 것으로 믿고 있었다. 집사나 목사의 경건성 여부는 신앙의 본질과는 실제로 무관한 것이며 Brown이 핑크 리본을 Faith의 실체로 본 것도 마찬가지이다. 아내인 Faith의 스커트 자락을 잡고 천국에 가겠다는 생각은 문제의 핵심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skirts는 ”skirts of religion\"을 가리키며 그런 것들이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 Brown의 인생관이나 종교관은 잘못된 것 아니면 매우 미숙한 것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Brown의 약점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잇는 Devil은 이들을 차례로 무너뜨려간 것이다.
세 번째 단계에서 주인공이 느끼는 죄의 본질에 대한 환상극은 절정에 달한다. 어둠을 배경으로 이글이글 타오르는 넓은 바위 위에 불타는 네 모퉁이의 소나무들, 거기에 장중하게 울려 퍼지는 대 합창, 그리고 명암의 교차속에 나타나는 많은 등장인물들, 실로 한 편의 그랜드 오페라에 비길만하다. 이 악마의 제전에는 교회의 지도자들, 그 지역의 저명인사들, 지체높은 부인들과 순수한 처녀들이 모두 와 있다. 거기에는 이와 같은 선남선녀들만이 아니라 많은 범죄자들과 부정한 여인들도 함께 와 있다. 놀라운 것은 서로가 조금도 꺼리거나 멀리 하려는 기색도 없었으며 그들의 적대 행위자인 인디안 제사장들과 주술사들까지도 동참해 있다.
그런데 Faith는 어디 있을까? Brown은 마지막으로 한가닥 희망을 가져 본다. 또다시 악마의 찬미가가 울려 퍼지고 더욱 더 이글거리는 바위 위에 한 인물이 나타난다. “Bring forth the converts!\"라는 말에 Brown은 목사와 Gookin집사의 팔에 이끌려 제단앞으로 나아가자 거기에는 Goody Cloyse와 Martha Carrier에 이끌려 나온 가냘픈 여인도 있다. 이윽고 악마는 ”Welcome, my children, to the communion of your race!\"라고 Brown과 여인을 환영하면서 죄악의 본질에 대한 설교를 한다. 그리고 여기에 모인 경건하고 의로운 사람들이 은밀히 저지른 모든 죄악을 오늘밤만은 여기 모인 모든 사람들에게 명백하게 볼 수 있게 해주겠다는 것이다. 그들의 범죄를 일일이 열거하면서 서로 마주 보라고 지시한다. Brown은 Faith를 보고 Faith는 남편을 마주 본다.
And now, my children, look upon each other...Depending upon one another`s hearts, ye had still hoped that virtue were not all a dream. Now you are undeceived....Welcome...my children , to the communion of your race(pp.87-8)
이렇게 설교를 마치는 Devil에게 참석자 모두가 환호성를 지르며 일제히 “Welcome\"으로 화답한다. 아직 멈칫꺼리는 것은 Brown 내외 뿐이었다. 바위의 파인 곳에 담겨진 물은 불빛에 비추어 빨갛다. 악마는 거기에 손을 담궈서 이마에 세례 표시를 할 준비를 한다. 이렇게 되면 Brown내외는 서로의 사악한 모습을 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Brown은 사력을 다해 ”Faith! Faith!....Look up to Heaven, and resist the Wicked One!\"이라고 외친다. 그의 본능적인 최후의 저항이다. 그러나 이때 눈앞의 광경은 순간적으로 사라지고 Brown은 깊은 숲속에 혼자만 남아 있게 된다.그는 한동안 비틀거리며 차가운 바위에 기댄다. 빨갛게 타오르던 나뭇가지는 그의 뺨위에 차가운 이슬을 뿌려 준다.
이런 상황은 작품의 클라이막스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 클라이막스는 급전직하의 “falling action\"으로 바뀐다. 실질적으로 이 ”죄악의 환상극“은 끝이 난다고 보아도 좋다. 다음에 이어지는 마지막 부분은 이야기를 마무리하는 에필로그일 뿐이다. Hawthorne은 이 작품을 통해 모든 사람들의가슴속에 숨겨 있는 죄의 깊은 신비를 꿰뚫어 보면서 “악은 인류의 본성이나 악을 인간의 유일한 행복으로 삼는다는 것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받아들일 때 인간은 악마가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Brown은 그에게 남은 마지막 힘(또는 퓨리탄 신앙)을 다해 악마의 제자가 되기를 거부한 것이다.
끝 부분은 간단한 에필로그다. 다음날 아침에 Brown은 Salem Village에 돌아 온다. 악마의 집회에서 보았던 여러 사람들은 종전과 다름없이 경건한 생활을 하고 있다. 그들의 그런 행동이 역겨워서 견딜 수가 없는 Brown은 돌아 온 남편을 보고 아내인 Faith가 기뻐서 껑충껑충 뛰어 나와 매달리지만 그는 핑크 리본을 달고 있는 아내의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지나쳐 버린다. Brown은 그 이후로는 교회에서 듣는 찬송가 소리와 목사의 설교가 모두 견딜 수 없는 신성모독이며 허위로 들려서 천장이 무너져 내리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사로 잡히며 이따금 밤중에 자다가도 갑자기 Faith에게 움츠러든다.
Brown은 나머지 긴 인생을 즐거움과 기쁨을 모르고 신뢰와 믿음을 외면한 채 어둡고 삭막한 일생을 보낸다. 그는 끝내 인간다운 삶을 살아보지 못하고 믿음과 사랑과 소망을 모두 상실해 버린 인생을 살고 간 것이다. Brown은 자기 자신과, Goody Cloyse 등 몇 사람과 Faith로 대표되는 타인의 죄악성을 솔직하게 인정해야 하는데 이것을 거부함으로서 ”initiation test\"에서 실패하고 만 것이다.
Brown의 과오는 숲속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사실로 인정하고 악을 인간에 대한 “궁극적 진리”(final truth)로 받아 들이는데 있다. 더욱이 그는 자기 자신 속의 죄악성은 보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죄악만을 보는 모순에 빠진 것이다. 믿음, 소망, 사랑은 항상 함께 있다는 성서의 말씀은 진리이다. 인간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면서 사랑을 잃게 되고 사랑이 없는 곳에는 소망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신에 대한 믿음과 소망과 사랑도 같은 이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Hawthorne은 인간의 내면적 심층심리의 탐구자로서 인간의 죄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과 천재적인 예술적 재능으로 경탄을 금할 수 없는 한 편의 “죄의 환상극”을 창조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