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gue/강좌

CPL과 PL filter, 무엇이 다른가?

루루루 2001. 10. 15. 01:48
CPL의 등장은 AF / AE 카메라의 등장과 매우 밀접한 연관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AF 카메라는 초점을 맞추고 노출을 측정하기 위하여 주 미러 뒤에 보조 미러를 달고 있습니다. 이 보조 미러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당연히 주 미러가 완전히 불투명해서는 곤란합니다. 따라서 AF 카메라의 주미러는 반투명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건물의 반사 유리와 같다고 해야 하나요. 왜 있잖습니까, 밖에서 보면 안이 들여야 보이지 않지만, 안에서는 밖이 내다 보이는... 이런 미러를 지닌 카메라에 일반 PL필터를 사용할 경우, 특정한 각도에서는 노출 및 초점 정보를 지닌 빛이 주 미러를 통해 보조 미러로 전달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편광소자를 원형으로 배치한 원형편광필터 즉 CPL인 것입니다. 따라서 CPL과 PL의 구분 사용은 렌즈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바디에 따르는 것입니다. 바디가 AF방식이거나, 혹은 보조 미러가 달린 AE 카메라라고 한다면, 당연히 PL필터는 무용지물이 됩니다.

만약 님께서 FM2와 같은 수동바디를 가지고 계시다면, 렌즈에 관계없이 PL필터를 쓰시면 됩니다. 하지만, F100이나 F90X와 같은 바디에는, 당연히 CPL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보다 확실한 구분을 위해, 주위에 그렇게 밝지 않으면서 무광택이고 전체적으로 조명상태가 균일한 곳을 찾아보세요. 저같은 경우는 집안의 벽이 가장 좋더군요. 여기에 카메라를 향한다음, 노출을 맞추고 PL 필터를 서서히 돌려봅니다. 만약 이 때 노출이 변한다면, 가지고 계신 카메라는 CPL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전혀 노출이 변하지 않고 균일하다면 PL을 사용하셔도 무관합니다.

이 내용은 John Shaw's Nature Photography Complete Field Guide에서 발췌했습니다.